영화 암살 전지현의 모티브가 된 실제 항일 무장 투쟁을 한 여성 독립운동가

영화 암살 전지현의 모티브가 된 실제 항일 무장 투쟁을 한 여성 독립운동가



암살 전지현

영화 암살 전지현의 실제 주인공인 독립운동가

영화 암살에서 진지현씨가 연기한 안옥윤. 안옥윤 역의 실제 모티브가 되었던 독립운동가가 있었습니다. 일제강점기 만주에서 농어촌 및 군사 기관을 순회하며 독립 정신을 고취시키고 여성의 몸이지만 직접 총을 들고 항일 무장 투쟁까지 한 인물이 있었으니 그녀는 바로 남자현 지사입니다.

남자현 지사 그녀는 누구인가?

남자현 지사는 1872년 경북 영양 출신으로 의성 김 씨 김영주와 혼인을 합니다. 이후 항일 의병 활동을 하던 남편 김영주가 결혼한지 5년 만인 1896년 전사하는 비극을 맞이하게 됩니다. 남편이 죽은것을 슬퍼할 겨를도 없이 그녀는 남편을 대신해 가장이 되어 가족의 생계를 책임졌고 시부모를 봉양했으며 3대 독자인 아들 김성삼을 키워야만 했습니다.

1910년 일제에 의해 국가가 강점되는 참단한 상황을 맞이했으며 1915년에는 의지했던 시어머니까지 별세하는 일을 겪게 됩니다. 이때 남자현 지사는 만주로 망명하기로 결심했고, 아들인 김성삼을 먼저 만주로 보내 기반을 닦게 합니다.

남 지사는 1919년 3.1운동에 까지 참여한 이후 만주로 망명합니다. 그리고 가족의 생계는 아들에게 맡긴 후 본격적으로 나라의 독립을 위해 활동합니다.

남자현 지사

남자현 지사의 활약상

당시 만주에는 경상북도 지역의 유수한 인사들이 망명을 한 상태였습니다. 이런 경북 출신 인사들이 여럿 활동했던 곳이 서로군정서였는데요. 그러한 연유로 인해 남자현 지사는 서로군정서에서 독립투쟁을 시작하게 됩니다.

망명을 한 초기에는 농어촌 및 여러 단체와 군사 기관을 돌면서 독립 정신을 고취시키는 활동을 했습니다. 동만주 지역 12곳에 예배당과 교회를 세워 전도하기도 했으며, 10여개나 되는 여자 교육회를 설립하여 여성 계몽 운동에도 노력을 다했습니다. 거기에 더해 남만주 지방을 돌며 군자금을 모집했고, 우리나라 동포간의 단합을 꽤하기도 했습니다.

만주 망명 8년이 지난 후인 1927년 부터 남 지사는 독립운동을 지원하는 역할이 아닌 직접적이고, 적극적인 독립 운동을 하기로 마음먹습니다. 무기를 들고 직접 항일 투쟁을 하기로 결심한 것입니다.

무토 노부요시

남자현 지사가 총을 들고 가장 먼저 계획한 일은 사이토 마코토 총독을 암살하는 것이었습니다. 사이토 마코토는 2차례에 걸쳐서 최장기로 조선 총독을 지낸 사람입니다. 그녀는 1927년 권창 한자루와 탄환을 챙겨 서울에 잠입했지만 암살에 실패하며 미수에 그쳤습니다. 그녀의 거사기 있기 직전에 송학선 의사가 먼저 의거를 일으켰고, 그로인해 사이토 마코토 주변의 경계가 강화되는 바람에 다시 만주로 돌아올 수 밖에 없었던 것 입니다.

무토 노부요시

이후 1933년에는 주만일본대사 무토 노부요시를 암살할 계획을 세웁니다. 거사를 위해 거지 노파 행색으로 변장하여 하얼빈 교외를 지나가던 중 일제의 검문에 걸려 일본 경찰에 체포가 됩니다. 그리고 6개월간 감옥에 갇혀 고초를 겪게됩니다. 당시 옥중에 갇혀서는 단식 투쟁을 벌이기까지 했습니다. 이후 병보석으로 감옥에서 풀려났지만 5일만에 생을 마감하셨습니다. 이때 남 지사의 나이 60세였습니다.

건국훈장 대통령장

그녀가 죽기 전 “사람이 죽고 사는 것이 먹는 데 있는 것이 아니고 정신에 있다. 독립은 정신으로 이루어지느니라” 라는 유언을 남기셨다고 합니다.

남자현 지사가 사망하자 당시 하얼빈의 사회유지, 부인회, 중국인 지사들은 선생을 ‘독립군의 어머니’라고 존경하고 하얼빈 남강외인묘지에 안장하고 생전의 공로를 되새겼다고 합니다.

대한민국은 남자현 지사의 독립운동에 대한 공을 인정해 1962년 3월 1일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습니다.

가녀린 여성의 몸이지만 독립운동을 하였고, 후방에서 지원하는 역할 뿐 아니라 직접 총을 들고 항일 무장 독립투쟁을 전개했던 남자현 지사를 모르고 계시는 분들이 많아 이렇게 한번 소개를 드려봤습니다. 이런 독립운동가 분들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리며, 고마움을 갖는 것이 후대를 사는 우리가 해야할 일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독립운동가들의 가슴을 울리는 마지막 명언

👉한국의 잔다르크 여성 독립운동가 정정화 선생

👉쌍권총의 독립운동가 김상옥 의사 – 1 대 1000 으로 싸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