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나라 제1황후 기황후 – 고려 공녀에서 황후가 되어 고려를 괴롭히다

원나라 제1황후 기황후 – 고려 공녀에서 황후가 되어 고려를 괴롭히다



원나라 제1황후 기황후 – 공녀에서 황후가 되다

원나라 제1황후 기황후 관련해 이번에 알아보겠습니다. 각종 드라마 등에서 역사 왜곡으로 미화가 된 인물들이 종종 있습니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인물로 명성황후 민비와 원나라의 황후가 된 고려 출신 기황후를 들 수 있습니다. 이들은 각종 악행을 일삼은 인물들이지만 드라마만 보았을때는 선한 영향력을 행사한 훌륭한 인물처럼 보이는데요. 이는 역사적 왜곡이 심하게 된 것입니다. 실제 그들은 훌륭한 인물이 아니었습니다.

이번에는 기황후가 어떻게 고려 공녀에서 원나라 황후가 되었으며, 그녀의 고국인 고려에는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2013년 MBC 드라마 기황후를 통해 처음 알게된 고려 출신 원나라 황후였던 기황후. 원나라의 지배자로 군림하는 고려 여인의 사랑과 투쟁을 다루었던 드라마속 기황후는 정의로운 인물로 묘사되고 고려를 위해 수많은 노력을 한 것으로 나옵니다. 하지만 이는 실제와는 너무나 달랐던, 역사왜곡이 심하게 된 부분입니다.

실제 기황후는 친원파의 대표 세력으로 고려 왕을 책봉하는 과정에도 개입하여 영향력을 행사해 자신이 조종하기 쉬운 왕을 세우는 등 고려 입장에서 보았을때는 전혀 득이 되지않는 부정적인 일들을 자행했습니다.

고려에서 원나라 공녀로 끌려가다

원 간섭기의 고려는 수많은 처녀들을 원나라에 공녀로 보내야하는 참담한 처지에 놓여있었습니다. 보통 13~16세 나이의 처녀들을 원나라로 보내야했습니다. 이 또래의 딸을 가진 집에서는 공녀로 원에 끌려가는 것을 막기 위해 어린 나이에 혼인을 시키거나 머리를 깍고 출가시켜버리기까지 합니다.

원 간섭기에 놓여있던 80여년 동안 공식적으로 원나라에 끌려간 공녀의 숫자는 180명 정도였다 합니다. 원에 끌려간 공녀들은 대부분 황제,황부,황족들의 시녀로 들어가 힘겨운 생활을 했고, 일부는 지배층의 눈에 띄어 그들의 아내가 되기도 합니다.

몽골명 올제이 후투그, 시호는 보현숙성황후인 기황후. 그녀 역시 고려에서 원나라에 공녀로 보내지게 됩니다. 공녀로 발탁된 그녀는 원나라 수도인 대도로 끌려간 것인데요. 그러다 1333년 고려 출신의 환관 고용보에 의해 추천이 되어 궁녀가 됩니다.

당시 그녀의 외모는 뛰어났다고 전해졌으며, 이런 특출난 외모로 인해 원나라의 황제 혜종의 눈에 들게됩니다. 황제의 총애를 받은 그녀는 황태자 아유르시리다라 를 출산하기까지 합니다.

이 당시 원 황제 혜종의 정실 황후는 다나슈리 라는 여인으로 혜종을 황위에 올리는데 큰 역할을 한 앨 테무르의 딸이었습니다.

다나슈리 황후는 이런 아버지의 힘을 등에 업고 오만방자한 행동을 하였으며, 이로인해서인지 황제와의 사이도 좋지 않았습니다. 황제의 총애를 받는 기씨가 마음에 들지 않았던 다나슈리는 기씨를 매질하고 인두질까지 하는 악행을 저지릅니다. 이때 그녀의 나이가 겨우 13~15세 였다고 하니 다나슈리의 성격이 보통이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다나슈리

공녀에서 황후가 되다

기씨는 제 3의 세력인 메르키트 바얀을 이용하여 엘 테무르의 집안을 무너뜨리려 하였고, 원 황제에게 바얀을 중용하도록 청합니다. 엘 테무르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텡기스가 반란을 일으켰지만 승상 바얀이 이 반란을 진압합니다. 그로인해 텡기스의 동생이자 황후였던 다나슈리는 역모 죄로 폐위되어 궐 밖으로 쫓겨나는 신세가 됩니다.

이후 텡기스는 처형당했고, 다나슈리 역시 승상 바얀이 보낸 독주를 먹고 사망합니다.

이 일련의 사건이 있은 후 원 혜종은 자신이 총애하는 기씨를 황후로 삼으려 했지만 승상 바얀의 반대로 옹기라트 부족 출신 바얀 후투그를 새 황후로 맞이합니다.

황후가 되지 못한 기씨는 1338년 황태자 아유르시리다라를 낳았고, 몇 차례 반대가 있었지만 혜종은 그녀를 제2황후로 책봉. 이때부터 그녀는 기황후라 불리게 되는데요.

바얀 후투그

참고로 드라마 기황후에서 바얀 후투그 황후는 투기가 심한 여인으로 나오며, 기황후를 모략하다 사약을 마시고 죽는 것으로 나오지만 이 역시 역사왜곡이 된 부분입니다. 실제 역사속 바얀 후투그는 조용한 성격에, 본분에 맞게 행동하는 황후상의 여인이었으며, 혜종 역시 그녀를 존중해 주었다고 합니다. 드라마와는 달리 바얀 후투그는 기황후에 밀려 있었지만, 황후 자리를 지키다 병으로 사망하였고, 그녀가 죽고나서야 기황후는 제 1황후가 될 수 있었습니다.

원나라의 권력 중심에 서다

기황후는 자신의 황후 책봉을 반대했던 메르키트 바얀을 탄핵하여 축출하였으며, 고려 출신인 환관 박불화에게 군권을 책임지게합니다. 이렇게 기황후가 원의 황후가 되어 지위가 높아지니 고려에서는 스스로 딸을 원으로 보내고 출세를 해 보려는 자들까지 생겨났습니다.

하지만 공녀에서 기황후와 같이 되는 것이 어디 쉬운 일일까요? 이 어려운 일을 해낸 기황후는 대단한 인물임에는 틀림이 없습니다.

기철

고려에 악행을 저지르는 기황후

기황후의 소식은 고국인 고려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요. 고려에 살고 있던 기황후의 가족들이 그녀를 믿고 나쁜 짓을 일삼기 시작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인물은 그녀의 둘째 오빠인 기철 이라는 인물이었습니다. 그는 동생만 믿고 남의 토지를 빼앗고, 고려 조정의 요직에 친인척을 중용하게 하며, 횡포를 부리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기철은 1356년 공민왕의 반원 개혁 정책으로 인해 숙청당하고 맙니다. 자신의 오빠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분노한 기황후는 공민왕을 폐하고 덕흥군을 왕으로 삼기 위해 일을 꾸밉니다.

공민왕
최영

1364년 고려 출신 최유에게 군사 1만을 거느리고 고려를 공격케 하는 악행을 저지릅니다. 하지만 이때 고려 최고의 명장이었던 최영 장군에게 대패하여 그녀의 계획은 무산이 되고 맙니다.

이 무렵 원나라 조정에서는 황태자 지지파와 반대파 사이에 정쟁이 격화되었고, 반황태자파 볼라드 테무르가 황태자 지지파 코케 테무르에게 패해 죽었습니다. 황위 계승을 둘러싼 이 정쟁으로 원의 국력은 급격히 쇠퇴하였고, 각지의 반란 세력이 크게 성장하였습니다.

기황후의 최후

1365년 바얀 후투그가 죽고 자신의 권력을 총동원하여 기황후는 드디어 꿈에도 그리던 원나라 제 1황후가 됩니다.

하지만 이 기쁨도 잠시… 3년 뒤 주원장과 명나라 군대가 대도로 침략해와 혜종과 황태자는 대도를 버리고 옛 몽골 땅으로 도망가게 됩니다. 이로써 세계 대제국 원나라는 멸망을 하게 되고, 북원이 겨우 명맥만 유지하게 됩니다.

1370년 혜종이 죽자 기황후의 아들 아유르시리다라는 북원의 소종으로 즉위를 하였습니다. 몽골지역으로 폐퇴한 후의 기록에 기황후에 대한 내용은 전해지지 않고 있습니다.

기황후

원나라 제1황후이자 칸의 어머니인 그녀의 최후는 그녀의 파란만장한 삶과 대비해 조용했던 것 같습니다.

고려 공녀로 시작해 원나라의 제 1황후가 되고 아들을 칸으로 만든 입지전적인 인물이 기황후라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그녀는 자신이 공녀로 어떤 고생을 했는지를 잘 알면서도 앞장서서 고려에 공녀를 요구하며 차출하였고, 원나라 고관들에게 뇌물로 주기까지 합니다.

또한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고, 자신의 가족을 죽였다고 고려에 군대를 파견해 고려의 존립을 위협하고 고려 백성들을 힘들게 만든 장본인으로 후대 사람들에게 비판을 받는 인물이기도 합니다.

그녀가 나라가 힘이 없어 어린 나이에 공녀로 끌려가 갖은 고생을 하다보니 자신의 조국 고려를 생각하는 마음이 없었을 수 있으며, 오히려 원망하지 않았을까 생각할 수는 있습니다.

그래도 그녀가 자신의 조국 고려를 조금이라도 생각하고 고려를 위해 노력했더라면 후대의 평가는 지금과는 많이 다르지 않았을까 개인적으로 생각해봅니다.

👉고려 폐륜왕 – 아버지 후궁부터 외숙모까지 겁탈한 미친왕

👉수많은 여인들과 흥청망청 놀다 나라를 망치고 몰락한 조선의 왕

👉망한 백제의 장수에서 당나라 대장군이 된 인물 흑치상지 – 그는 영웅일까? 반역자일까?